티스토리 뷰
원화는 3존상이어서 왼쪽에 있던 대세지보살은 가운데의 아미타여래쪽으로 몸과 눈이 기울어져 있다.
5번째 부터는 수평과 수직을 독존상에 맞도록 바꾸어 그리고 있다.
오른쪽이 4회차
왼쪽이 5회차로 어깨와 팔 위로 흘러내린 가사자락을 수정했다.
선생님이 지적하고 연필선을 그어 주신것을 수정했고, 전신상 먹초를 가운데 수직으로 접어 관음보살 독존상과 비교하였다.
수정하고 보니 얼굴도 수평이 맞지 않는 부분을 발견해서 눈썹과 콧망울을 고치고 있다.
6회차 부분그림
7회차 얼굴만 연습차 그림
눈썹이 자리를 잡고 있다.
다음번에는 완전히 자리를 잡을것 같다.
얼굴만 연습을 많이 해야겠다.
'불화작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류관음도 3, 4차 (트레이싱 필름) (0) | 2019.07.13 |
---|---|
대세지보살 7, 8차 (붓, 순지 설명) (1) | 2019.07.13 |
혜허필관음도 2번째 먹초 (0) | 2019.06.19 |
세지보살 초 4번째 (0) | 2019.06.18 |
대세지보살 모사 초 3 (0) | 2019.06.03 |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진채반
- 고양이집난방
- 혜허필관음도
- 석채
- 대세지보살
- 도파민디톡스
- 불화남기선
- 보리심
- 부모의부재
- 방분
- 괘불
- 도골천공
- 고려불화
- 물방울관음도
- 소은화실
- 인사동
- 불탑판
- 구마라습
- 초연습
- 세지보살
- 조선불화
- 청동색
- 백동색
- 출초
- 먹초연습
- 수월관음도
- 양류관음도
- 민화협회
- 부처님의눈
- 발심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