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경 제2_종범스님_여래사(1) m.btn.co.kr(24분 부터) 선현기청분의 핵심 세존 선남자선여인 ~ 운하항복기심 까지 발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 한 이는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을 발한 사람은 응운하주 ㅡ 응당히 어떻게 머물러야 하며 운하항복기심 이니까 ㅡ 어떻게 그 마음을 항복시켜야 하겠습니까 선남자선여인 인간몸 천상몸을 받은 사람이라야 발심을 할 수가 있다. 금생에 잘 닦아서 최소한 지옥에 떨어지지 말아야 한다. 지옥에 떨어지면 금강경이고 법화경이고 들을 수가 없다. 인간몸을 받았더라도 악한일을 하는 중생은 지옥갈 준비를 하고 있기 때문에 금강경이 안들어온다. 죄악을 짓지 않는 사람 ㅡ 선남자선여인 선남자선여인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을 이룬다 = 부처님처럼 깨달음을 이루려고 하는 마음을 일으킨 사람들은 ..
금강경 제2_종범스님_여래사(1) m.btn.co.kr(처음부터~ 24분까지) 선현 = 수보리 = 공도리를 잘안다 공생 수보리가 일어나 법을 청한다. 그 때에 부처님이 자리를 펴고 아무말씀도 아니하고 앉아계실 때 □ 장로 ㅡ 덕도 높고 연세도 많고 □ 즉 종좌기 하야 ㅡ 자리로부터 일어나서 편단우견하고 수보리에게 존칭은 맞지 않다 □ 압존불 ㅡ 존중한 부처님에게 눌렸다. 부처님 과 상대할 때는, 부처님에게 존칭할 때는 부처님 제자 이하 격에는 '님' 자를 붙이지 않는다. 부처님께 축원할 때도 축원대상에게는 존칭을 쓰지 않는다. 부처님께 질문을 하기 위해서 공경을 표시 하는 것 이다. ■공경례 질문을 하는 예절과 격식이 있다. 솥의 밥을 지어서 손으로 집어 먹지 않는다. 솥의 밥이 입에 들어가는 과정과 절..
금강경 제1_종범스님_여래사(2) m.btn.co.kr 1 금강경 오가해경전 ㅡ 수문설. (따를수 글문) 글에 따라서 강설하는 방식 2 천신론 금강선론 ㅡ 금강경 교의. 어떤 가르침의 뜻을 전하고 있다. (가르칠교 옳을의 사람생각을 말할 때는 의견이라는 뜻의 자를 쓰는데, 경전의 뜻 진리의 뜻을 말할 때는 '옳을 의' 민주주의의 자를 쓴다.) 논에 의해서 말하게 되면 금강경 교의설. 금강경을 전친과 전친의 후대제자가 되는 금강서는 어떻게 봤는가 . 금강경 교의설을 두 번째 했다. 3 의법설 금강경에서 전하고자 하는 법이 있는데 법에 의지해서 설명한다. (의지할의 법법) 세번째부터는 (지금 강의) 해석한 문장이나 교의는 크게 중점을 안두고 금강경에서 무엇을 전하고 계신가. 법에 중점을 두고 말하겠다. 금강..
- Total
- Today
- Yesterday
- 도파민디톡스
- 진채반
- 발심
- 고양이집난방
- 조선불화
- 고려불화
- 소은화실
- 청동색
- 불탑판
- 출초
- 구마라습
- 석채
- 방분
- 보리심
- 민화협회
- 양류관음도
- 도골천공
- 백동색
- 혜허필관음도
- 괘불
- 인사동
- 불화남기선
- 불화병풍
- 수월관음도
- 초연습
- 부처님의눈
- 대세지보살
- 세지보살
- 물방울관음도
- 먹초연습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