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유 하십니다. (바랄희 드믈희) 드믈게 있는 일입니다. 비 시시유 (때시) 때때로 있는 일이 아니다. 희유 ㅡ 미증유 일찌기 없었던 일잊니다. 존재에 대한 찬탄 인도 ㅡ 우담바라 3천년만에 한 번씩 피는 꽃 길상화 우담바라가 한 번 나타날 때마다 희유라는 말을 붙인다.
부처님은 선호념제보살 하시고 선부촉제보살 하십니다. 호념 ㅡ (보호할호 인도하다 생각념 = 기억, 관찰, 지혜, 보살핀다염) 모든 보살을 잘 이끌어서 살피시고 부촉 ㅡ 당래에 어떻게 어떻게 하라 당부하고 촉탁하는 것 근숙보살을 위해서, 근기가 성숙한 보살, 십지보살 이상, 근숙보살에게 호념을 하시고, 십지 이하 미숙 보살은 부촉을 한다. 부처님이 하시는 일이 이거다.
□ 현장역 호념 ㅡ 섭수 ㅡ (영양섭취, 섭 내내 인도한다) 인도하여 받아주시고 □ 의정역 선호념 ㅡ 승이익 (이길승) 승이익으로 익제보살 하시고 이세상에 가장 훌륭한 이익으로 보살을 이익하게 하시고, 십지이상 지상보살 십지이하 미숙보살에게는 승부촉으로, 가장 훌륭한 부촉으로, 촉제보살, 모든 보살을 부촉하십니다. 미래당부 현재섭수 보살피고.
현재 부처님에 대한 찬탄과 예경이다. (예배해서 공경하는 것)
질문 - 경전 끝까지 나가는 질문 발심 근숙보살이나 미숙보살이나 다 통하는 말이다 초발심 증발심 원만발심 해행발심 최초출발 에서 구경에 이르기 까지 대승불교에서는 다종발심을 이야기 한다. 최초도 중간도 마지막도 발심이다. 미래에 보살도를 닦을 보살이나 현재에 십지에 올라서 보살도를 닦는 보살이나, 보살들이 발심을 하는데, 발심은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고자 하는 발심이다. 발심 = 마음을 낸다.
발은 출야 생야 기야 (날출 나아가는 것, 날생 내는 것, 일어날기 일으키는 것. 발생 출발 발기) 뭐하려고 마음을 내느냐 아뇩다라삼먁삼보리 깨달으려고 마음을 낸다. 깨닫는 것이 가장 훌륭한 이익이고, 깨달음으로 인도하는 것이 가장 훌륭한 섭수고 호념이기 때문에.
발심한 보살은 어디에 머물러야 하느냐 머물주 ㅡ 주는 착야라 집착할주. 색에 머문다 색에 집착한다. 주는 입야라. 어디에 머물렀다. 거기에 서서 신념부동, 마음이 움직이지 않는것. 논어 삼십에 입이라. 나이가 삼십에 섰다. 입지 뜻을 세우는 것 보다 한 걸음 더 들어간 것이다. 그자리를 지켜서 움직이지 않는 것.
불교 에서는 안주부동을 이야기 한다. (편안할안 머물주) 안주=일심 부동=일행 한마음 한결같은 행동으로 나아가는 것. 지속불변하는 것. 부동은 불생이념이라 다른 생각을 내지 않는 것. 일심 일행 한마음 한 행동 (요새 안주=게으름에 빠진것) 발심보살은 어디에 안주해야 하느냐. 중생심 탐진치 삼독심이 일어날 때 어떻게 눌러서 항복시켜야 하느냐. 는 질문.
금강경 내내 반복되어 나오는 질문 불고수보리 ㅡ 어떻게 안주하고 어떻게 항복한다 수보리백불언 ㅡ 어떻게 안주하고 어떻게 항복해야 합니까. 운하주 운하항복기심 (운하=어떻게) 어떻게 일심일행으로 한결같이 닦아야 하느냐
왜 묻느냐 중생은 항상 6진경계를 구한다. 보살은 보리, 깨달음을 구한다. 중생은 탐진치가 일어나면 그대로 한다. (화내면 손해볼까봐 더 큰 이익을 도모하려고 화 안내기도 한다) 보살은 옛날식으로 탐진치가 일어나면 어떻게 항복시켜야 합니까. 보리를 구하는 마음에 어떻게 일심일행으로 움직이지 않고 만족할수 있습니까. (발심을 해도 탐진치가 일어난다는 것. 점수에 관한 이야기이다)
희유세존 희유하십니다 세존이시여. 일찌기 없었던 일입니다. 당신의 출현이. 좀처럼 볼 수 없는 일입니다. 희유 = wonderful 의미 ㅡ 부처님의 실상 자체를 한마디로 표현한 것이다. 불 이라는 전체를 다 표현한 말이다.
대승불교의 역사 대승불교 이전은 법 중심의 불교 이고 대승불교 이후는 불 중심의 불교 이다. 대승불교가 중기 이후 넘어가면 심중심, 불은 마음이다. 그 이후 행중심 수행강조. 법 ㅡ 불 ㅡ 심 ㅡ 행 처음에는 삼법인 사성제 팔정도 법중심으로 가르친다. 지금은 수행 이야기가 많다. 염불 기도 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