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번에 그림 전체를 복사한 것은 2000년 시공사 발행의 '고려시대의 불화' 에 나온 전체 사진입니다. 그리고 제가 전신상 본을 뜬 사진은 2016년 네즈미술관 도록 사진이었습니다 둘을 조합해 보았더니 맞지 않았습니다.전체에 비해 본상은 가로가 넓었고, 즉 뚱뚱했고 선재동자와 꽃은 비틀려 있었습니다. 그래서 2000년 시공사 전신상과 제가 뜬 본을 비교했더니 2000년 시공사 전신상이 가로가 날씬했습니다.그래서 2000년 시공사 전신상으로 본을 다시 떴습니다. 뜨고 나서, 네 장의 사진을 스캔하여 비교해봐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 모든 사진은 세로를 기준으로 맞춘 다음에 가로를 확인 하였습니다. 결과 1 2000년 도록 사진과 2016년 도록 사진은 다른 것으로 추정됩니다. 즉 다시 찍은것이죠...
일본 가가미진자(경신사) 소장, 고려1310년 제작 430×254cm 인터넷에 전체 사진과 부분 사진들이 가장 많고, 부분 사진들이 해상도가 좋은 편이어서 이것으로 본을 뜨기로 하였다.전체 사진을 기준으로 놓고 해상도 높은 부분 사진들을 위에 겹쳐서 전체의 해상도가 높은 사진을 얻기 위해 포토샵 작업을 했다. 그러나! 단순히 확대, 축소해서 겹친다고 되는게 아니었다. 부분 사진들은 위 아래 크기가 다르며, 찍을 때 카메라 각도가 수평이 아니었는지 기울거나 비틀려 있었다. 모든 사진을 일일이 조절해서 기준이 되는 전체 사진에 맞춰 나갔다. 어렵게 만들고 나니 찢겨진 부분이 문제였다. 모사 작품의 도움을 받기로 하고 모사작 하나를 찾아서 맞춰봤다. 그러나 모사 작품은 원화와 많이 달랐다. 가로 세로 비율도 ..
고려시대의 불화 (2000 시공사) 책의 사진 중 본상(왼쪽) 을 키 80cm 로 확대 흑백 복사해 가지고 있는 것이 있었다. 위에 트레팔지 필름을 얹고 가는 라이너 (0.05, 0.03) 로 선을 떴다. 흐릿하지만 찾아가며 선을 그었다. 선의 굵기가 주는 변화도 있기 때문에 주의하여 뜬다.아래 사진은 상반신은 고려불화(2016) 책, 하반신은 인터넷 자료로 뜬 최후의 잘된 먹초이다.트레팔지 필름 아래 먹초 뜬 순지를 놓고 재본다.세로가 다르다. 꼭 맞지 많다. 78.6 (트레팔지) 78.35 (순지) 100.319% 78.5 (트레팔지) 78.2 (순지) 100.383% 순지가 아주 조금작다. 잴 때마다 다르다. 게다가 1%도 안되는 차이라 다시 복사한들 그 차이를 좁히기는 어려울것 같다. 그러나 가로..
결론은 실패다. 분석을 해보자. 왼쪽의 복사물은 고려시대의 불화 (2000 시공사) 책에 있던 원화 전체 사진을 A3로 칼라 확대하고, 그것을 흑백으로 확대한 것이다. 436.3% 확대하여 원화크기를 만들어 보려 하였으나 복사 하는데서 400%까지만 확대가 되었다. (을지로 가야 가능하다고 한다) 이것 위에 트레싱지를 얹어 윤곽만을 뜬 후 그것을 상하좌우 여백을 고려하여 107.5% 로 확대 복사 하였다. 그 위에 5개의 복사물을 축소, 확대하여 붙인것이 오른쪽의 본 으로 원화와 거의 같은 144.2×62.5cm 크기 이다. 그러나.. 축소한 본상의 느낌이 전체 윤곽과 괴리감이 있어 자세히 보니 키가 같은데 좌우가 더 넓었다. 즉 뚱뚱했다. 본상만 뜬것은 키가 80cm 로 이것을 83% 축소하여 원화크기..
윤곽 잡기.. 다 되어 간다. 처음엔 관음상만 그리려 했는데, 9개월간 들여다 봤더니 가능할 것 같은 마음이 들어서 전체를 만들어 본다. 여러 책을 들여다보고 선생님께 조언을 듣고 하니까 9개월만에 이제야 보이는 것들도 있다. 트레싱지 물 묻으면 쪼그라든다.필름 트레싱지 손 지문에서 나오는 아주 적은 양의 기름도 묻어 얼룩이 진다. 그러나 잘 보인다. 물에 의한 수축도 없고 찢어지지도 않는다. 대신 비싸다.어느분의 블로그에서 가져온 사진으로 마지막 부분을 정확히 뜰 수 있다. 무엇보다 '해동치납 혜허 필' 이라 적힌 수기를 보니 반갑고 감사하다.9개월간 본을 만들면서 느꼈던 감정들 다 잊겠지만.. 잊지 말도록 하자.
- Total
- Today
- Yesterday
- 소은화실
- 백동색
- 조선불화
- 불탑판
- 구마라습
- 발심
- 대세지보살
- 초연습
- 수월관음도
- 괘불
- 석채
- 진채반
- 물방울관음도
- 불화남기선
- 방분
- 양류관음도
- 먹초연습
- 보리심
- 고려불화
- 청동색
- 혜허필관음도
- 도골천공
- 불화병풍
- 부처님의눈
- 출초
- 고양이집난방
- 도파민디톡스
- 인사동
- 민화협회
- 세지보살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